블로그 이미지
悠久の風∼@ 그레실
이웃추가

카테고리

ΤΟΡ (295)
Sundries (246)
ΡΗΟΤΟ (14)
ΜΟΤΙΟΝ (35)
Total
Today
Yesterday

달력

« » 2025.5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공지사항

태그목록

최근에 올라온 글




일본식 정원은 중국, 한국에서 들여 온 기법에다가,
자신들만의 독특한 색채를 더해 서양에서도 인기가 있죠.

'가레산스이'라고 불리우는 돌로 만든 정원은 그런 독특함의 극치를 보여주는데요.

기묘하면서도 정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게,
일본인이 추구하는 축소 지향적인 미학을 잘 드러내고 있는 것 같네요.



++ 참고로 요즘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정원은 거의 다 일본과 서양의 스타일을 혼합한 정원입니다.
심지어 궁궐 안에 재현해 둔 정원조차 말이죠.
원래 우리나라 정원은 안압지처럼, 벽돌을 쌓아 경계를 말끔하게 만든 모습이라고 하네요.
반면 일본식 정원의 특징은, 커다란 돌들을 아무렇게나 배열해서 경계를 만든다는 점이라고 합니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가레산스이(일본어: 枯山水, かれさんすい)는 일본정원이나 일본화의 양식 또는 방식의 하나이다.

못이나 농업용수 등의 물을 사용하지 않고 돌과 모래 등에 의해 산수의 풍경을 표현하는 정원 양식이다. 그 예로 흰 모래와 작은 돌을 깔고 수면에 비유하는 경우가 많고, 다리가 놓여 있으면 그 아래는 물로 간주한다. 돌 표면의 문양으로 물의 흐름을 표현하는 것도 있다.

특히 무로마치 시대의 선종 사원에서 만들어지고 발달했다. 종래의 정원에서도 기법으로서 정원의 일부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었으나, 차차 독립된 정원으로서 만들어지게 되었다. 일본정원은 물을 얻을 수 있는 장소에 세웠지만, 가레산스이 양식이 등장한 후에는 꼭 물을 쓰지 않더라도 정원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.

유명한 가레산스이 정원으로는 사이호지(西芳寺, 아래쪽은 못이 있는 치센카이유시키 정원(池泉回遊式庭園)이고, 윗쪽은 가레산스이 정원이 있음)와 다이토쿠지(大徳寺)의 정원 등이 있다. 특히 료안지(竜安寺)의 돌 정원은 나무나 풀 없이,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에 흰 모래와 15개의 돌만으로 표현한 특이한 것이라 그 해석을 둘러싸고 다양한 설이 오가고 있다.

위의 예들은 돌 정원을 기본으로 하는 가레산스이이지만, 타이산지(太山寺)의 안요인정원(安養院庭園) 같이 모래를 쓰지 않고 돌로만 풍경을 표현하는 가레이케시키(枯池式) 가레산스이도 존재한다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Posted by 그레실
, |

최근에 달린 댓글

최근에 받은 트랙백

글 보관함